■ 저서 『국제질서 변화와 유엔의 평화·안보 거버넌스』 (도서출판 선인, 2019) (*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시리아 내전: 미국·러시아의 군사개입과 갈등』 (세종연구소, 2019)
『유엔안보리의 대북제재레짐: 중국·러시아의 역할과 입장』 (세종연구소, 2018)
『글로벌 거버넌스와 국제안보: 이슈와 행위자』 (한울아카데미, 2012)
『러시아 외교안보정책의 이해: 고르바초프에서 푸틴까지』 (세종연구소, 2004)
(* 「조선일보」 서평. 이웅현, 2004.5.22.)
■ 편저
『미·중·일·러의 한반도정책 결정과정』 (세종연구소, 2010) 정은숙, 임성호, 김재철, 이면우
『한국의 대개도국 외교: 과거, 현재, 미래』 (한울아카데미, 2009)
정은숙, 이면우, 김찬완, 고재남, 유달승, 황규득, 김원호 (*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Foreign Policy Making in Russia: An Analysis of Domestic Entanglements
(The Sejong Institute, 1998).
Eunsook Chung, Hannes J. Adomeit (독일) & Andrei Kortunov (러시아)
『러시아의 새로운 안보한경과 전략: 분석과 전망』 (세종연구소, 1996)
정은숙, 연현식, Roy Allison, 정한구, 문수언, Trevor Taylor
■ 연구논문/정책보고서
- “러시아의 대북제재 무력화 잠정평가 및 대응방안” 발표 (‘세종연구소 주최, 2024 한미핵전략포럼’ 2024.9.26.)
- “유엔안전보장이사회 개혁: 논의와 전망” (세종연구소, 2021)
- “21세기 미중 패권경쟁과 중러 전략관계: 유럽·아시아 안보함의” (세종정책브리프 2021.10)
- “바이든 시대 NATO 동맹: 전망과 함의” (세종정책브리프 2021.5)
- “팬데믹하 위기의 국제질서와 글로벌 거버넌스” (세종정책브리프 2020.12)
- “New START의 미래와 글로벌 전략안정성 전망” (세종정책브리프 2020.9)
- “글로벌 핵비확산레짐 50년: NPT평가회의의 성과와 한계” (세종연구소, 2020)
- “유엔안보리결의 제2397호에 따른 북한노동자 송환: 실태와 시사점” (세종정책브리프 2019,12)
- “INF레짐의 위기와 우리의 대응” (세종정책브리프 2019.3)
- “이란 핵문제 해결을 위한 JCPOA (공동포괄행동계획): 배경, 도전, 정책시사점” (세종정첵브리프 2018.12)
-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3년: 구상과 현실 사이” (홍현익 편. 박근혜정부의 대외정책. (세종연구소, 2017)
- “트럼프 당선과 미러관계 변화 전망” (세종정책브리프 2016.12)
- “유럽·이스라엘의 탄도미사일 방어: 개념 및 구축 사례”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편. 미사일방어전략 2014)
- “NATO의 핵공유협정과 전술핵무기: 배경, 전망, 시사점” (세종연구소, 2016)
- “동아시아 네트워크 지역주의와 러시아: 동인·갭·전망 (세종연구소, 2014)
-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 내실화 및 실천을 위한 제언 (세종정책브리프 2014.7)
- “The UN Non-Proliferation Sanctions on North Korea: Assessment and Suggestions (The Sejong Institute, 2013)
- “Long-Stalled Six-Party Talks on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Positions of Countries Involved.” 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25-1 (March 2013)
- “한국군, 지구촌의 든든한 친구” (글로벌 리더십 편찬위원회 편. 교보문고. 2012)
- “핵안보 정상회의 프로세스와 한국” (세종정책브리프 2012.6)
- 「서울 G20국회의장회의(2011) 의제 심층분석과 제도화 방안」 (연구책임자 정은숙, 국회 용역과제 연구보고서, 2011)
- “한국의 대동구권 외교.” 정은숙 편. 『한국의 대개도국 외교: 과거, 현재, 미래』 (한울아카데미, 2009)
-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Concept and Practices in Asia Pacific and Europe.” in N.S. Sisodia and S. Datta ed. Changing Security Dynamics in
Southeast Asia (Magnam Books, New Delhi, 2008)
- “제2세대 유엔 PKO: 특징, 현황, 정치.” 세종정책연구 4-1 (2008)
- “상해협력기구 (SCO)와 미국: 상호인식과 관계전망,” 세종정책연구 4-2 (2008)
- “벨로루시,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 비핵화 사례.” 박기덕, 이상현 편. 북핵문제와 한반도 평화체제 (세종연구소 2007)
- “중러 군사협력: 현황, 동인, 한계.” 세종정책연구 3-2 (2007)
- “Multiple Regional Security Frameworks for Central Asia: NATO, CSTO, OSCE, SCO,” 세종정책연구 3-1 (2007)
- The US-Russia Relations: Russia’s Military Presence in Moldova and Georgia” 세종정책연구 2-1 (2007).
- “Humanitarian Intervention: Can it be Perfect?.” The Journal of Peace Studies 8-2 (2007)
- “Cooperative Security Regime: A Comparison of OSCE and ARF.” (세종정책연구, 1-1 (2005)
- “A Democratic Consolidation Debate: Russia’s Proto-Multiparty System.” The Challenges to Democratization in a Global World (CEPESE, Porto, Portugal, 2004)
- “21세기 유엔 평화유지활동: 코소보 사례를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2003)
- “대량살살무기의 개발·이전” (세종정책브리프 2002.2)
- “Explaining Russia’s Interest in Building Security Mechanisms in the East Asia Region: Realism and Neoliberal Institutionalism.” Ted Hopf ed. Understandings of Russian Foreign Policy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1999)
이외 다수
■ 정세분석/논평
- “샹그릴라 대화 2024: 미중경쟁과 아태지역 안보 불확실성” (세종포커스, 2024.6.10.)
- “뮌헨안보회의 2024: 두 개의 전쟁과 글로벌 안보지평” (세종포커스, 2024.2.28.)
- “2024 러시아 정세전망” (정세와 정책, 2024.1월호)
- “제78차 유엔총회 정상들의 대토론: 신뢰, 재건, 단결 재점화” (정세와 정책, 2023.10월호)
- “The Republic of Korea’s strategy for the Indo-Pacific and Global Pivotal State.”The European Security and Defense Union Vol.49 (2023) (https://magazine-the-european.com/2024/01/07/the-republic-of-koreas-strategy-for-the-indo-pacific-and-global-pivotal-states/)
- “워싱턴 선언: 배경, 내용, 평가와 과제” (정세와 정책, 2023.6월호)
- “제59차 뮌헨안보회의: 우크라이나 전쟁 1년” (세종포커스, 2023.2.28.)
- “우크라이나 사태의 원인과 배경.” 「국회보」 Vol.666 (2022.05)
- “윤석열 정부의 대러시아 정책방향” (정세와 정책, 2022.4월호)
- “서방과 러시아의 지정학 갈등과 우크라이나 위기” (세종논평 2021.12.14.)
- “The Yellow Sea in an era of growing Chinese ambitions and South Korea.” The European Security and Defense Union. No.41 (2021)
(https://magazine-the-european.com/2022/02/20/the-yellow-sea-in-an-era-of-growing-chinese-ambitions-and-south-korea/)
- “아프가니스탄 위기와 유엔안보리 결의 제2593호” (세종논평 2021.9.9.)
- “2021 NATO 정상회의: 동맹 재활성화 및 시사점” (세종논평 2021.7.1.)
- “바이든 정부의 대러시아 제재: 사이버, 대선, 크림반도” (세종논평 2021.4.28.)
- “뮌헨안보회의 특별회의: 바이든 대통령의 첫 다자외교 메시지” (세종논평 2021.2.26.)
- “바이든 취임과 미러관계 전망” (세종논평 2021.2.4.)
- “2020 미국의 선택: 글로벌 거버넌스” (세종논평 2020.11.11.)
- “유엔안보리의 코로나19 대응: 글로벌 인도주의 휴전결의” (세종논평 2020.7.8.)
- “트럼프 정부의 영공개방조약 탈퇴결정: 팬데믹속 현실주의 국제정치 (세종논평. 2020.6.1.)
- “제 56차 뮌헨안보회의에서의 국제안보 쟁점과 함의: 서방의 위축과 중국의 위협” (정세와 정책, 2020. 4월)
- “유엔사무총장의 2020 진단: 악순환과 광풍” (정세와 정책, 2020. 2월)
- “미궁의 시리아 내전: 미군철수와 터키의 침공” (정세와 정책, 2019. 10월)
- “제18차 샹그릴라 대화 (Shangri-La Dialogue): 미중갈등과 아시아 안보” (정세와 정책. 2019. 6월)
- “2019 뮌헨안보회의: 리버럴 국제질서의 불확실성” (정세와 정책, 2019. 3월)
- “Deterring North Korea: a task for the ROK-US alliance.” The European Security and Defense Union Vol.29 (2018)
- “아난 (Kofi Annan) 서거에 부쳐” (세종논평. 2018.8.24.)
- “오리무중 (五里霧中)속 솔즈베리 독극물 사건: 21세기형 전통·비전통 안보의 혼재” (세종논평 2018.3.20.)
- “트럼프 정부의 ‘핵태세보고서’: 현실주의 프리즘 (정세와 정책, 2018. 3월)
-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경제제재: 중국, 러시아의 기업과 개인” (세종논평 2017.8.28.)
- “유엔안보리 결의문 2371호: 이행의 과제” (세종논평 2017.8.11.)
- “중러 정상의 타쉬켄트와 북경회동: ‘신실크로드,’ ‘남중국해,’ 그리고 ‘사드’
- “히로시마 G7 외무장관회의: 내용과 시사점” (세종논평 2016.7.11.)
- “유엔안보리의 대북 비확산 제재레짐 10년: ‘중국요인’의 중요성” (세종논평 2016.1.13.)
- ‘이슬람 국가’ (IS)의 파리시내 테러: 의미와 대응“ (세종논평 2015.11.20.)
- “유엔창설 70주년과 시리아·우크라이나 갈등” (세종논평 2015.10.6.)
- ‘샹그릴라 대화 2015’: 아시아안보의 현주소“ (세종논평 2015.7.2.)
- “이란과 P5+1의 핵해결틀 합의: 내용, 전망, 시사점” (세종논평 2015.4.13.)
- “2014 NATO 웨일즈 정상회의” (세종논평 2014.9.12.)
- “크림반도 위기와 국제질서의 향방 (세종논평 2014.3.10.)
- “제 50차 뮌헨안보회의 (Munich Security Conference)의 의제와 시사점” (세종논평 2014.2.7.)
- “푸틴대통령의 신동방정책과 한러 정상회담” (세종논평 2013.11.18.)
- “메르켈 총리의 총선승리: 의의와 정책전망” (세종논평 2013.9.26.)
- “시리아 유혈사태와 러시아, 그리고 현실주의 국제정치 (세종논평 2013.6.18.)
- “유엔안보리 결의 제2094호: 의미와 기대” (세종논평 2013.3.11.)
- “시카고 NATO정상회의와 국제안보환경” (세종논평 2012.6.5.)
- “2012 서울 핵안보 정상회의: 의미와 성과 (세종논평 2012.3.30.)
- “푸틴 총리와 러시아의 미래” (세종논평 2012.3.15.)
- “푸틴총리의 중국방문과 중러관계” (세종논평 2011.10.18.)
-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의 재선” (세종논평 2011.6.20.)
- “제2차 야로슬라블 글로벌 정책포럼과 새로운 한러관계 (세종논평 2010.9.15.)
- “메드베데프 대통령의 방미: 실리코밸리, 햄버거, 천안함 (세종논평 2010.6.30.)
- “제8차 NPT 평가회의와 비확산 레짐의 미래” (세종논평 2010.6.1.)
- “제1차 핵안보 정상회의: 배경, 성과, 시사점” (세종논평 2010.4.16.)
- “미러 新 ‘전략무기감축조약’ 타결 (세종논평 2010.3.31.)
이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