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신간안내 
											
												
												| 
 
														
															
																|  |  | 한반도 평화대전략 
 세종연구소는 2018년부터 시작된 ‘한반도 평화대전환’이 제대로 진전되어 우리가 2017년에 겪은 바와 같은 전쟁위협, 그것도 핵전쟁 위협이 다시는 재발하지 않도록 이 땅에 영구적인 평화체제를 수립하는 데 하나의 전략적 지도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만일 우리가 지난 76년 동안 악화되어 온 ‘적대와 전쟁’을 벗어나 ‘화해와 평화’로 대전환을 이뤄낼 수 있다면, 우리사회의 중심가치는 ‘전쟁’에서 ‘평화’로 전변할 것이다. 우리들의 생각, 가치, 목표가 평화 중심으로 바뀜으로써 인간관계, 사고방식과 행동양식뿐만 아니라 법, 제도, 정부정책도 모두 평화를 증진하는 방향으로 자리 잡아 우리사회는 ‘평화 정체성’을 확립하게 될 것이다. 또 그렇게 되면, 한반도 국제정치에서도 평화로 패러다임 전환이 일어나면서 ‘적대와 전쟁’이 아닌 6.25전쟁 종전과 평화체제 수립, 비핵화, 관계정상화 등 ‘화해와 평화’의 개념과 가치, 목표가 그 중심을 차지할 것이다. 본 전략서는 이러한 ‘한반도 평화대전환’의 필요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것이다.
 
 한반도 평화대전환과 그 지속을 위한 ‘5대 핵심목표’는 한반도 평화체제 수립, 한반도 비핵화, 남북 평화공존·평화통일, 문제해결적 한미 동맹협력 강화, 새로운 북미관계 수립이다.
 |  |  |  
									|  연구소 3월 행사 안내 
 
											
											
											
												| 
														
														
															
															| 1. 제13기 세종청년아카데미 입교식  
   1) 일시: 3월 11일(금), 13:30 - 17:002) 장소: 대회의실
 |  	
															| 2. 정세토론회
 
  1) 제5차 정세토론회- 일시: 2022년 3월 15일(화), 10:00 - 11:30
 - 장소: 소회의실
 - 주제: “2022년 북한의 미사일 발사 평가와 전망”
 - 발표: 이상민 한국국방연구원 북한군사연구실장
 - 사회: 정성장 통일전략연구실장
 
 2) 제6차 정세토론회
 - 일시: 2022년 3월 22일(화), 10:00 - 11:30
 - 장소: 소회의실
 - 주제: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대만해협 위기 평가”
 - 발표: 정재흥 연구위원, 이동민 객원연구위원
 - 사회:  이대우 안보전략연구실장
 
 |  	
															| 3. 제3차 세종사이버안보포럼
  
        - 일시: 2022년 3월 30일(수), 14:30 - 17:00- 장소: 서머셋팰리스서울
 - 주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사이버작전의 역할과 함의”
 |  |  |  
									|  출판 
											
											
												| 
 
														
														
															| 국가전략 제28권 1호(봄호) 
 |  
															
															| - 한국형 전략사령부 창설 방안의 모색  |  정경운 - 미중간 전략적 경쟁과 한반도 주변지역 군사분쟁 전망  |  박영준
 - 트럼프-시진핑 시기 미중경쟁: 탈동조화 경제안보전략의 한계와 중간국가의 부상  |  윤대엽
 - 2028년 이후 한일대륙붕공동개발협정의 종료 가능성과 중국 변수: 제도화된 협력이 현상 변경       |  박창건·윤석정
 - 테러와의 전쟁과 무인항공기 공습 증가 요인 연구: 오바마 행정부의 파키스탄 사례를 중심으로      |  황원준
 - 코로나19 재난 지원금과 유권자의 정치적  지지: 대통령 직무수행 평가와 정부신뢰 변화를
    중심으로 |  신정섭
 - 1991년 남북 단일팀 성사와 단절에 관한 고찰: 제41회 지바 세계탁구선수권대회를 중심으로       |  최진환
 
 
 |  
 
 
														
														
															| 세종정책연구 
 |  
															|   | [세종정책연구 2021-09] 탈냉전기 정부별 대북정책 평가와 향후 개선방안  |  홍현익 탈냉전은 남북관계와 한반도 안보의 기본 구도를 획기적으로 바꿔놓았다. 이런 맥락에서 본고는 먼저 탈냉전 시기 한국의 대북정책을 정부별로 분석・평가했다. 평가는 평화와 안정의 관리 및 정착, 공동번영, 그리고 평화통일 기반 구축 등의 대북 정책목표 실현 정도와 진정성 및 의지를 기준으로 삼았다. 대체적으로 노태우 정부와 진보정부들은 남북관계를 개선했다. 노태우 정부를 제외한 보수정부들은 원칙과 이념을 앞세워 남북간 충돌이 잦았고 남북관계는 악화됐다.
 
 |  
															|   | [세종정책연구 2021-08] 4차 산업혁명과 공유경제의 북한 적용 연구: 중국, 러시아, 쿠바 사례의 경험과 교훈 |    양운철 중국은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 및 쿼드 추진,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문제, 미군 주도의 역내 미사일 방어망(MD)과 미사일 전략무기(중장거리 미사일) 역내 배치 가능성 등을 예의주시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반해 미국은 새로운 대중전략 추진차원에서 전 세계 동맹국과 나토(NATO)협력강화, 인도-태평양 전략과 쿼드추진, 한미일 3국 안보협력을 다시금 강조하면서 한국의 적극적인 동참 요구가 예상된다.
 |  
 
 |  |  
									|  정책·학술행사 |  
									| 
											
											|  칼럼/인터뷰 
 |  |  
									| 
											
												|  |  
												|  『국가전략』 원고 공모 |  
												|  |  
												| 
														
															|  |  
															| - 세종연구소의 계간지 『국가전략』은 시사성과 학술성을 갖춘 논문을 수시로 모집합니다. |  
															| - 자세한 내용은 세종연구소 홈페이지(www.sejong.org)참조 - 유선문의 : 031-750-7615,  E-mail : nationalstrategy@sejong.org (『국가전략』편집위원회 간사)
 |  
															|  |  |  
												|  |  
												|  세종연구소 SNS 계정 안내 |  
												|  |  
												| 
														
															|  |  
															| - 인스타그램: @thesejonginstitute |  
															| - 페이스북: facebook.com/thesejonginstitute83 |  
															| - 트위터: twitter.com/TheSejong |  
															|  |  |  |  |  |  
						|  | 
								
								
									| 
											
											
											| 우) 13449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대왕판교로 851번길 20 | 메일 수신을 원치 않으시면 수신거부 메일을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 tel. 031-750-7500  |fax. 031-754-0100 | 홈페이지 : https://www.sejong.org |  
											| Copyrightⓒthe sejong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 문의 :  public@sejong.org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