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lish
「국가전략」온라인 투고
학술출간
전체
TOTAL 475 Page 24/48
국가전략 18권 3호 2012년 가을호
2012-08-31 조회수 : 9,367 강명세
북한의 도발 환경 비교 분석: 1968년과 2010년의 주요 사건을 중심으로
2012-08-31 조회수 : 12,622
이 글의 목적은 1968년과 2010년에 발생한 북한의 주요 도발 사례들을 중심으로 하여 북한이 도발을 감행할 수 있도록 했던 환경 조건을 분석하는 ...
국제정치경제 페러다임과 공적개발원조 레짐의 변화
2012-08-31 조회수 : 11,936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공적개발원조레짐은 국제정치경제 패러다임 변화의 영향을 받으면서 변화했다. 전후 미소가 자신들의 진영을 구축하는 수단으...
오바마정부 시기의 북미관계 2009-2012
2012-08-31 조회수 : 10,820
이 연구는 오바마정부 시기(2009~2012)의 북미관계를 분석하고, 앞으로의 북미관계를 전망하며, 북미관계의 발전을 위한 정책제언을 하고 있다. 이...
한국의 NATO와의 군사협력 방향: NATO '신전략 2010' 중심으로
2012-08-31 조회수 : 7,263
집단방위동맹체제인 NATO는 냉전 이후 동유럽 국가들을 흡수, 확장하면서 집단안보체제로 정체성이 변화되고 있다. NATO는 회원국의 증가에 따라 ...
2차 핵실험 이후 북한-중국 관계의 변화와 함의
2012-08-31 조회수 : 11,808 이종석
2009년 5월 북한의 2차 핵실험 이후 북한-중국 관계가 크게 변화하고 있다. 북한에 대한 유엔의 제재결의 1874호가 발효된 가운데 중국지도부는 20...
주체사상의 구조와 정치적 기능의 변화
2012-08-31 조회수 : 11,541
이 연구의 목적은 김일성이 1955년 주체의 확립을 제기한 이후 정치적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주체사상의 구조와 정치적 기능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북한·중국 군사교류협력의 지속과 변화
2012-08-31 조회수 : 7,731 정성장
우리사회에서 다수의 전문가들과 언론은 북한과 중국이 여전히 냉전시기처럼 ‘혈맹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물론 6.25전쟁을 전후...
한국의 '안보/통일 딜레마'와 파생효과 감소방안
2012-08-31 조회수 : 10,314
본 연구는 필자가 2010년에 개발․발표한 ‘이중 딜레마 이론’(Double-faced Dilemma Theory)의 후속 연구이다. ‘안보/통일의 딜레마’는 한국 정치사...
탈북자와 함께 본 북한사회: 북한문제의 딜레마와 해법
2012-06-30 조회수 : 11,138 이대우 , (편)
이 책은 남북관계가 극도로 경색되고 북한의 도발이 극에 달한 상태였던 2011년 말 북한의 실상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해 보고자 시작되었다. 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