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lish
「국가전략」온라인 투고
학술출간
전체
TOTAL 478 Page 22/48
이승만정부와 장면정부의 통일정책 비교
2013-08-30 조회수 : 11,156 백학순
이승만정부(1948년 8월~1960년 6월)와 그 후임정부인 장면정부(1960년 8월~1961년 5월)의 통일정책을 비교·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대한민국 최초의...
북한 군수산업의 민수전환 방안 연구: 체제전환국의 경험을 중심으로
2013-08-30 조회수 : 10,889 양운철
대를 이은 북한의 군사중시 전략은 자원배분의 왜곡으로 계획경제를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2000년대에는 선군정치에 입각하여 군수공업을 강화하...
시진핑 시대 미중관계와 한국의 대중 전략
2013-08-30 조회수 : 10,986 이태환
중국의 시진핑 정부 출범에 맞추어 한국의 대중전략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한중 북중관계 변화를 미중관계의...
『국가전략』제19권 2호 2013년 여름호
2013-06-05 조회수 : 12,243 이상현 , 김영호, 양문수, 이시영·임은정, 고상두
『국가전략』제19권 1호 2013년 봄호
2013-04-10 조회수 : 11,985 문우진,지병근,이현우·이정진,양길현·장원석·고성준·강근형,김종갑
이명박정부의 대북정책 2008∼2012
2013-02-15 조회수 : 11,618
본 연구는 이명박정부의 대북정책을 분석·평가하고 이것이 갖은 정책적 함의를 찾기 위한 것이다. 우선, ‘분석의 틀’로서 ‘남북관계·통일의 정체성...
중국 경제개혁의 정치적 역학: 지속적인 경제발전을 위한 정치동력의 약화
2013-02-15 조회수 : 12,512 김기수
중화인민공화국 출범 이후 마오쩌둥 생존 시까지 굴곡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경제개혁은 꾸준히 이루어졌다. 그렇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서로 ...
북한을 둘러싼 경계정치: 개념·특징·함의
2013-02-15 조회수 : 9,584 이종석
그동안 북한을 둘러싼 경계에서 발생한 이슈들은 북한 내부와 한반도 정세에 커다란 영향을 미쳐왔다. 경계정치(border politics)란 경계(즉, 국경...
6자회담의 성과와 한계, 그리고 전망
2013-02-15 조회수 : 9,549
본 연구의 목적은 6자회담의 실효성을 분석하고 향후 그 기능이 온전히 발휘될 것인가를 전망해 보는 데 있다. 본 연구는 6자회담의 실효성을 분석...
북한군 총정치국의 위상 및 역할과 권력승계 문제
2013-02-15 조회수 : 8,915 정성장
사회주의체제에서 기본적으로 군대는 ‘공화국(국가)의 군대’가 아니라 ‘당의 군대’이다. 군대가 공산당의 지도하에 놓여 있는 것은 ‘군 총정치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