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lish
「국가전략」온라인 투고
학술출간
전체
TOTAL 478 Page 17/48
탈냉전기 폴란드와 우크라이나의 대외안보전략 연구: 통일한국에 대한 함의
2015-04-14 조회수 : 13,903 홍현익
동독이 전문가들도 예측하지 못할 정도로 불시에 붕괴되어 독일 통일이 갑자기 도래했듯이 한반도 통일도 불시에 이루어질 가능성을 배제하기 ...
통일기반 구축을 위한 외교
2015-04-14 조회수 : 33,199 이태환 , (편)
이 책은 한반도 통일에 우호적이고 협력적인 국제환경을 만들어가기 위한 체계적인 통일외교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반도 통일에 대한...
『국가전략』제21권 1호(봄호) 2015년
2015-03-02 조회수 : 13,301 배기현,박영준,권혁철,박지연,민태은,석재왕
통일경제를 위한 예비 연구
2015-02-13 조회수 : 31,382 김기수 , (편)
통일이 불현 듯 실현되는 경우 우리는 어떤 정책을 시행해야만 할까? 이 문제와 관련한 연구는 이미 많이 존재한다. 그러나 그간의 연구가 대단...
김정은 시대의 북한 정치 2012-2014: 사상·정체성·구조
2015-02-13 조회수 : 13,935 백학순
본 연구는 ‘김정은 시대’(2012~2014년)의 북한정치를 분석하고 평가하고 있다. 권력행위자의 사상, 정체성, 이익을 중시하는 구성주의적 시각을...
美·日의 對中 동맹전략 전망과 한국의 안보: 중, 일간 안보 갈등관계를 중심으로
2015-02-13 조회수 : 12,218 정철호
동아시아에서 중국의 영향력 팽창은 일본과 센카쿠열도/댜오위다오 도서분쟁으로 충돌하고 있다. 미국은 미일동맹에 근거하여 도서분쟁과 관련...
'문화대혁명'시기 북한-중국 관계 연구
2015-02-13 조회수 : 98,927 이종석
냉전시기 북한과 중국은 미국, 남한 등 자본주의진영에 대해서는 공고한 연대와 협력을 과시했지만 양국관계에서는 빈번히 대내외적 쟁점을 둘...
북한군 최고사령관의 위상과 역할
2015-02-13 조회수 : 10,531 정성장
북한에서 군대에 대한 최고지도자의 유일적 영도를 보장하는 최고사령관직이 신설된 것은 6․25전쟁 직후였다. 1950년 7월 4일 북한 최고인민회...
『국가전략』제20권 4호(겨울호) 2014년
2014-12-01 조회수 : 12,587 김태균,박진수,송경재,이재묵,강명세
미국의 아태 재균형 정책과 한국 안보
2014-10-06 조회수 : 30,791 이상현 , (편)
중국의 부상에 대응한 미국의 아태 재균형 정책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현재 동아시아에서 세력균형이 안정적이고 미국에 유리한 상황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