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lish
「국가전략」온라인 투고
학술출간
논문/단행본
TOTAL 360 Page 17/36
북한의 도발 환경 비교 분석: 1968년과 2010년의 주요 사건을 중심으로
2012-08-31 조회수 : 13,308
이 글의 목적은 1968년과 2010년에 발생한 북한의 주요 도발 사례들을 중심으로 하여 북한이 도발을 감행할 수 있도록 했던 환경 조건을 분석하는 ...
한국의 '안보/통일 딜레마'와 파생효과 감소방안
2012-08-31 조회수 : 10,979
본 연구는 필자가 2010년에 개발․발표한 ‘이중 딜레마 이론’(Double-faced Dilemma Theory)의 후속 연구이다. ‘안보/통일의 딜레마’는 한국 정치사...
북한·중국 군사교류협력의 지속과 변화
2012-08-31 조회수 : 8,402 정성장
우리사회에서 다수의 전문가들과 언론은 북한과 중국이 여전히 냉전시기처럼 ‘혈맹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물론 6.25전쟁을 전후...
주체사상의 구조와 정치적 기능의 변화
2012-08-31 조회수 : 12,257
이 연구의 목적은 김일성이 1955년 주체의 확립을 제기한 이후 정치적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주체사상의 구조와 정치적 기능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한국의 NATO와의 군사협력 방향: NATO '신전략 2010' 중심으로
2012-08-31 조회수 : 7,928
집단방위동맹체제인 NATO는 냉전 이후 동유럽 국가들을 흡수, 확장하면서 집단안보체제로 정체성이 변화되고 있다. NATO는 회원국의 증가에 따라 ...
2차 핵실험 이후 북한-중국 관계의 변화와 함의
2012-08-31 조회수 : 12,509 이종석
2009년 5월 북한의 2차 핵실험 이후 북한-중국 관계가 크게 변화하고 있다. 북한에 대한 유엔의 제재결의 1874호가 발효된 가운데 중국지도부는 20...
탈북자와 함께 본 북한사회: 북한문제의 딜레마와 해법
2012-06-30 조회수 : 12,118 이대우, (편)
이 책은 남북관계가 극도로 경색되고 북한의 도발이 극에 달한 상태였던 2011년 말 북한의 실상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해 보고자 시작되었다. 물...
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 대전략: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 구축 및 통일 전략
2012-06-11 조회수 : 17,485 홍현익, (지음)
대한민국은 그간 산업근대화와 정치민주화를 달성하고 선진국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반면 김일성 일가의 왕조적 독재정치 하의 북한은 체제 생...
한반도 평화통일론
2012-03-19 조회수 : 14,936 이종석, (지음)
이 책은 한반도 분단극복과 통일에 대한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 독자들과 역사적 경험을 공유할 목적으로 씌어졌다. 이를 위해 필자는 먼저 통일...
글로벌 거버넌스와 국제안보: 이슈와 행위자
2012-03-15 조회수 : 13,236 정은숙, (지음)
글로벌 거버넌스는 세계화 시대에 글로벌 질서의 변화를 바라보는 포괄적인 패러다임이다. 글로벌 상호의존성의 증대와 함께 오늘날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