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간물
세종정책연구
TOTAL 196 Page 1/20
통일인식 및 대북인식의 사회적 기반
한국에서 통일과 대북문제는 정치적 입장에 따라 견해의 차가 가장 큰 분야이다. 남북전쟁 이후 이 문제에 대해 보수와 진보 정치세력은 각자의 프로젝트를 제시하여 경쟁하고 대결해왔다. 민주주의에서 정치엘리트의 정치적 목표는 지지층과 투표자의 선호를 벗어나면 성공할 수 없다. 자신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
2019-11-15 조회수 : 280 강명세
미국의 인도‧태평양전략과 인도 : 인도의 참여 수준 전망을 중심으로
이 글의 목적은, 중국의 패권추구를 저지하기 위해 미국 주도로 구체화 되어가고 있는 인도‧태평양 전략 참여에 인도는 왜 미온적 태도를 보이고 있는가에 대한 대답을 찾아보고, 향후 인도의 참여 수준을 전망해 보는 것이다. 이 연구는 미국 국방부의 인도·태평양전략보고서(IPSR, Indo-Pacific Strategy Report, ...
2019-11-05 조회수 : 290 이대우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중국의 인식과 입장
지난해부터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직간접적으로 연계되어 있는 종전선언과 평화체제(남·북·미 3자 혹은 남·북·미·중 4자)문제를 둘러싸고 한중간에 보이지 않은 갈등의 조짐까지 나타나고 있다. 미국 일각에서는 북한이 미국과의 비핵화 협상에 소극적으로 나오는데 중국이 일정한 역할을 하고 있을 것이라는 의구...
2019-10-31 조회수 : 337 정재흥
북한 상품의 국산화: 자력갱생과 수입대체의 연계
2014년 김정은이 천진윤활유 공장을 방문해 국산화를 언급한 이후 북한의 국산화 정책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경제적 이유로는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강화로 북한은 내부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상품 수입과 외화 수요를 줄이고 국내 생산을 증대시키는 국산화 전략을 추진하게 된 것으로 판단된다. 북한이 추구하...
2019-10-29 조회수 : 336 양운철
한반도 정세 대전환과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구축방안
2018년 초부터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남북관계가 개선되고 남북 정상회담이 개최되었으며 6월에는 역사적인 북·미 정상회담이 열렸을 뿐 아니라 2019년 6월 남·북·미 3자 판문점 정상회동도 이루어지는 등 한반도 안보정세가 큰 폭으로 전환되고 있다. 북·미 협상과 정상회담을 통해 북한의 비핵화가 진전되면 한반도...
2019-09-05 조회수 : 1,013 홍현익
미중 경제마찰: 경제·정치 이론과 무역전쟁을 중심으로
이 글에서는 우선 미중 무역전쟁의 현실을 이론에 비추어 봤다. 국제경제 관련 이론은 무역의 세계를 세 개의 서로 다른 차원에서 조명하고 있다. 경제적 이해에 기초, 양자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전통 무역이론은 보호주의가 이를 취하는 국가의 경제적 이해를 우선 침해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하지만 보호주...
2019-07-26 조회수 : 1,487 김기수
국내정치는 외교정책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 : 체제 및 지도자
이 글은 크게 두 가지 문제에 답하려는 시도이다. 첫째는 북한의 무력도발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한국사회에서 북한문제와 관련 가장 빈번한 화두는 북한의 호전성이다. 북한의 호전적 외교정책은 사실인가? 북한의 무력충돌행태에 대해서는 수 많은 관찰과 논의가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엄밀히 얼마...
2016-02-16 조회수 : 74,381 강명세
중일관계의 갈등과 협력: 안보와 경제의 연계
2000년대 중일관계는 외교적 분쟁의 시기를 지나 긴장완화상태를 거쳤다. 영토분쟁 관련 합의가 있었고, 고위급회담과 상호 항만대기요청 등이 마련되었다. 중일간의 경제적 상호의존성이 증가했다. 양국간 수출과 투자가 증가했다. 한편 안보 측면에서는 양국의 군사적 동기를 경계하고 있다. 일본은 중국 인민해...
2016-02-12 조회수 : 74,977 김성철
한반도 통일과 동북아 국제질서: 우호적 환경 조성을 위한 과제
통일은 남북 당사자가 해결해야할 사안이면서, 동시에 국제적인 성격을 띤 문제이다. 특히 통일은 미중일러의 각축으로 표상되는 동북아의 역학관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통일을 원만히 추진하려면 한반도 통일과 동북아 국제정세의 상관성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고 대처해야 하는 지...
2016-01-26 조회수 : 72,393 이종석
NATO의 핵공유협정과 전술핵무기: 배경, 전망, 시사점
NATO 핵공유협정하 냉전기 최대 약 7,000기에 달했던 미국의 유럽배치 전술핵무기는 현재 150-200기로 대폭 축소되었으며 그 기종도 공중투하용 B61 전술핵폭탄에 국한된다. 배치국가도 5개회원국 (독일, 벨기에, 네덜란드, 이태리, 터키)으로 축소됐다. 본 연구는 제1장 문제의 제기에 이어 제2장 21세기 NATO의 전반적...
2016-01-15 조회수 : 71,809 정은숙